시스템비계 설치·자재·갱폼 등
하도급사들 소규모 이윤조차
“돈 된다” 직발주로 쓸어가
안전시설물 설치도 직접 진행 
일부 지자체들 분리도급 가세
하도급사 “뭘 먹고 사나” 속타

최근 중소 종합건설사들이 이윤 극대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하도급업체들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 하도급업체들의 몫으로 분류되던 시스템비계와 정보통신 설치 관련 작업, 안전관리 분야 등 극히 일부분의 이윤까지도 앗아가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어 하도급업체들의 고충이 커지고 있다.

수도권 소재 전문건설업체인 A사는 올해 한 도로공사 현장에 참여했다가 도로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규모 정보통신 공사와 가드레일 설치공사 등을 원도급업체 요구로 빼앗겼다.

A사 대표는 “기존에는 도로공사 등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규모 관련 공사들은 하도급업체들에게 일임했었고, 계약서에도 그렇게 기재해 왔지만 최근 이마저도 앗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파트단지 조성 과정에서 생겨나는 단독발주가 힘든 소규모의 가드레일 설치나 도로포장, 신호체계 관련 시설물 설치 등에까지 관여해 이윤을 챙겨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시스템비계 설치 등의 업무와 관련해서도 유사한 갑질이 일어나고 있다. 기존에 멸실이 많이 되고, 작업량에 비해 돈이 안된다고 판단될 때는 하도급업체들에게 떠넘기다가 최근 망실이 되는 비율이 대폭 줄고 관리가 잘되는 등 이윤이 늘자 이를 직발주하는 원청사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 다른 전문건설업체 B사 관계자는 “원청사들은 요즘 진짜 돈 되는 부분에는 모두 손을 대고 있다”며 “원래 하도급사가 컨트롤 하던 일부 자재와 갱폼 등 거의 대부분의 영역으로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 관련 분야도 상황은 비슷하다. 돈이 안 될 때는 하도급사에 다 떠밀다가 최근에는 일부 파손 등이 일어나 손실이 생길 수 있는 안전모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관련 업무를 원청이 맡아서 진행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법적으로 나눠야 할 비율은 무시하고 원도급업체가 안전 관련 비용을 독점하는 현장이 발생하면서 공사 진입로 등에 설치하던 안전시설물에 대한 비용 등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일각에서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유사한 갑질 행위가 벌어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특정 정보통신 공사 업체 등을 콕 짚어 도급하게 하는 방식이라고 업체들은 입을 모았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보통 정보통신 공사는 건설사와 공기 일정 조율이 중요한데 발주처에서 특정한 업체들의 경우 고자세인 경우가 많아 우리가 공기를 손해 볼 때가 많다”며 “하지만 발주처에서 요구하면 해당 업체와 일할 수밖에 없어 답답할 때가 있다”고 하소연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