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불안지수 18.8…위기단계 위협
금융불안지수 위기단계 역대 2차례
금융취약성 지수는 하락…금융불균형 축소

국내외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 미국 등 주요국의 정책금리 인상 가속,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등으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시스템 불안 상황을 보여 주는 ‘금융불안지수’(FSI)가 ‘위기 단계' 목전까지 치솟았다.

한국은행은 22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2022년 9월 금융안정보고서’를 의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시스템 불안 상황을 보여주는 금융불안지수(FSI)가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7월 18.8까지 올랐다. 금융불안지수는 지난 3월 8.8로 주의단계에 진입한 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후 4월(10.8), 5월(13.3), 6월(15.9), 7월(18.8), 8월(17.6)으로 올랐다.

금융불안지수는 지수가 높을 수록 그만큼 금융불안이 커졌다는 것을 뜻한다. 이 지수가 8을 넘으면 ‘주의 단계’, 22를 넘으면 ‘위기 단계’로 분류된다. 금융불안지수가 위기 단계에 들어선 때는 2008년 금융위기때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두 차례다. 

가장 최근에 위기 단계에 진입한 것은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4월로 24.5까지 치솟으면서 3개월 연속 위기 단계에 머물다가 같은해 7월 주의단계로 내려가는 등 코로나19 백신보급으로 빠르게 내려온 바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초기인 2008년 1월에도 9.2를 기록해 주의단계에 진입한 후 8개월 만인 같은해 9월(27.0) 위기단계에 진입해 10개월 연속 ‘위기 단계’가 이어진 바 있다. 2008년 12월엔 57.6까지 뛰어 오르는 등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은은 미국 등 주요국의 정책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중국 경기둔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점이 금융안정의 주요 리스크 요인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주요국 금리 인상기조 강화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됐다”며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금융불균형이 축소돼 가는 과정에서 경제주체의 위험선호 성향이 약화되면서 금융불안이 단기적으로 상승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간부채 수준이 높은 상황에서 물가상승 압력과 그에 따른 금리 상승은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에 부담되고 금융시장 변동성도 확대시킬 우려가 있다. 또 그간 비은행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해외대체투자가 확대되고 단기외화차입 비중이 높아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등 대외충격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은 한층 높아진 상황이다.

반면 금융시스템 내 중장기적 취약성을 보여주는 금융취약성지수(FVI)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하락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가계부채 누증, 높은 주택가격 수준 등이 주요 취약요인으로 잠재하면서 여전히 장기평균(41.0)을 상회하고 있다.

금융취약성지수는 지난해 2분기 58.8까지 치솟은 후 3분기 57.5, 4분기 54.0, 올 1분기 52.3, 2분기 48.3으로 하락했다.

한은은 금융불균형 위험이 축소되는 가운데 금융기관 복원력 등을 바탕으로 금융취약성지수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최근 상반된 금융안정지표의 움직임은 금리 상승 등으로 그간 누증된 금융불균형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단기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