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전문 협력 전통·첨단 접목 정보화가 살길

국가 경제력이 6T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고, 기반시설계획도 점차 감소되는 추세에서 건설산업은 이대로 할 만큼만 하다가 가라앉아야 하는가?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디지털시대에 건설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관련 주체별로 몇 가지 분야에서 “相生” 의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첫째, 이제는 단기적 공법개선 못지않게 장기적 연구개발에 투자할 때도 되었다. 기업입장에서 연구개발 투자는 가시적 이윤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CEO의 의지가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나, 70년대 중동건설 붐 이후 국내 건설업이 호황을 이루었던 시기에도 국내 건설업계는 자체 연구개발에 인색하였다.  정부입장에서도 2002년의 건설교통부 R&D예산은 649억원으로 국가 전체 R&D예산의 1.3%이고, 정부의 과학기술혁신 5개년계획에서 건설 분야 예산은 0.5%에 불과하다.

국가에서 볼 때 건설기술은 과학기술분야가 아닌 듯하다. 그렇다면 학계에서라도 개척자입장에서 연구개발을 하여 물이 있어도 마시지 않는 목마른 업계에 성과물을 제공해야 하나, NT, IT, BT와 경쟁하여 건설이 R&D 예산을 따내는 것은 이미 웬만한 입심과 인해전술 전략 없이는 가당치 않은 일이다. 굴뚝시대의 건설기술이 디지털시대의 정보화 기술로 거듭나기 위해 이제는 연구개발 투자가 함께 되어야 살아남는다는 의식이 필요한 때이다.

 둘째, 대형건설과 전문건설이 동일체 의식을 갖고 있어야 모두 살아남는다. 국내 공사관행상 실제적인 공사 품질은 전문건설의 몫이 크다 할 수 있으므로, 걸 맞는 전문건설의 위상 재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건설의 주인의식 확보와 함께, 발주처 및 원도급사의 개방된 하도급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국가적 측면에서도 대형건설업에 의한 건설기술의 발전을 위해서 전문건설의 고품질화는 선결조건으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수도권과 지방 건설산업이 공히 발전되어야 국가 건설산업이 살아남는다. 이를 위해 수도권 중심의 건설기술개발 환경과 건설업역구성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유인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인책은 지방건설업계의 상당부분을 전문건설업이 차지하는 현실에서, 전문건설의 고품질화와 건설산업의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넷째, 전통기술에 첨단기술이 접목되어야 건설현장이 유지될 것이다. 급속도로 변화되는 정보화 사회에서 건설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이미 건설정보화는 생존전략차원에서 고려되고 있다. 이제는 정부에서 중소건설사와 지방건설업계의 정보화기술 활성화에 주력하여 대형건설사와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건설교통부에서 추진하는 2차 건설정보화 추진계획도 이러한 부분에 많은 몫을 할당하여 5년 후에는 전문건설도 고부가가치의 건설업역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내 건설업도 이제는 건설 산업이 정보화된 과학기술분야라는 인식도 전환을 위해 업계차원의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하며, 정보 활용측면에서도 서로 공유해야 생존한다는 의식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앞서 각 분야에서 서로 공존해야 하는 파트너들을 언급하였으나, 사이버시대의 생존 관건이 “Know How” 보다 “Know Where”인 점을 고려하면, 나만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나도 공개하는 ”相生“의식이 필요한 것이다. “相生의 건설”은 6T와의 경쟁에서 건설 산업이 취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이며, 동시에 그간의 부진함을 일거에 만회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