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해안권 중장기개발 청사진 주요 내용

서해안, 물류·녹색산업 등 융복합벨트로
남해안은 청정 해양관광 중심지로 육성

국토해양부는 이번 중장기 발전종합계획 수립으로 동해안권과 서해안권은 지역적 특성을 살린 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5월 확정·고시된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과 합하면 한반도 해안권 중장기 발전 청사진이자 현 정부 지역발전정책의 주요 축이 완성됐다는 해석이다. 각 권역별 발전종합계획의 주요내용을 요약했다.

◇동해안권=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에너지·관광의 블루파워 벨트로 개발한다. 이를 위해 국가에너지 생산량의 60%를 담당할 수 있는 에너지 산업벨트와 글로벌 해양생태·문화관광 벨트로 구축된다. 국제관광거점 기반 조성, 창조산업 육성, 인프라 확충 등 사업 부문도 강화할 예정이다.

산업권별로는 △환동해 국제교류 관광권 △동해 해양과학권 △트라이앵글 산업권 등 크게 3개 부문으로 나뉘어 개발한다. 우선 설악권(해양·산악), 경주권(역사·문화), 강릉권(휴양·문화), 울릉권(영토수호·해양생태)을 연계시켜 환동해권 국제관광 거점으로 조성한다. 동해안 일주 생태탐방로, 동해안 일주 철도, 동서간 연계철도 등 초광역 기간교통망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울산-경주-울진은 원자력클러스터, 울산은 동북아 오일허브, 삼척은 복합에너지거점 등으로 개발된다. 강릉과 울릉도, 영덕은 각각 녹색도시, 녹색섬, 신재생에너지체험단지로 육성된다.

기간산업이 집적된 울산(자동차·조선)과 경주(부품·에너지), 포항(철강·신소재)은 ‘트라이앵글 산업 벨트’로 묶는다. 신소재 산업 클러스터(강릉·동해·삼척·울산), 부품소재 R&D 클러스터(울산·경주·포항), 해양 바이오 클러스터(고성·강릉) 등 차세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신소재 바이오 클러스터’도 생긴다.



◇서해안권=국제비즈니스 거점 및 환황해 협력체계, 지식·첨단산업을 아우르는 융복합벨트로 개발될 예정이다. 슈퍼경기만권과 충남서해안권, 새만금권 등 3개 권역으로 나뉘어 단계적 개발이 이뤄진다.

슈퍼경기만권은 비즈니스·물류·첨단산업이 복합된 동북아 경제거점으로 조성된다. 충남서해안권은 국제관광·휴양산업과 기간산업이 어우러진 융복합 산업거점, 새만금권은 신재생 에너지 등 저탄소 녹색산업 거점으로 중점 육성될 계획이다.

특히 인천·황해·새만금·군산 등 경제자유구역은 국제회의와 비즈니스, 컨벤션, 전시, 쇼핑, 관광, 숙박 등이 결합된 ‘BTMICE’ 구역으로 특화한다. 지리적 잇점을 살려 중국 동부권 지방자치단체와 산업, 서비스, 항만 등을 교류하는 환황해 파트너십도 구축할 예정이다.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산업(파주·화성·평택·아산), 자동차산업(화성·아산·홍성·군산) 등 주력산업과 항공(인천·김포·군산), 항공레저(태안), 조선·해양레저(화성·군산), 로봇(인천), 바이오(화성) 등 신산업을 묶어 전략산업 벨트도 만든다.

◇남해안권=남해안은 리아스식 해안(8425㎞), 다도해(2546개섬) 등 자연환경을 살린 해양관광 중심지로 육성한다. 한려수도권(여수-사천-통영-거제)은 청정해역을 바탕으로 한 체류형 관광지, 다도해권(신안-진도-완도 및 기타섬)은 해양레포츠가 어우러진 휴양지로 가꾼다.

부산·여수 등에는 크루즈 기반 시설이, 관광거점별로는 해양 레포츠를 위한 마리나 시설이 갖춰진다. 부산·광양항은 기능을 고도화하는 한편 시설이 낡은 여수·통영항은 관광 미항으로 정비가 이뤄진다.

조선, 석유화학, 기계, 물류 등 기간산업이 몰려 있는 만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프로젝트도 추진된다. 인프라 측면에선 해안선과 섬을 잇는 77번 국도를 확충하고 남해안 일주 철도를 고속화한다. 내륙 연계 교통망(광주-완도, 통영-거제)도 단계적으로 확충해 2시간대의 통합 생활권을 구축한다. /김흥수 기자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