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경북 포항 지진과 관련,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민안전을 위해 사회간접자본(SOC) 및 시설피해 최소화와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피해 최소화와 안전 관리는 ‘사후 대책’일 뿐이다. 지난해 경주에 이은 이번 지진은 ‘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노후 SOC 및 건물, 시설뿐만 아니라 신축 건축물 등에 대한 내진 투자 등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에는 지진이 주는 피해는 너무도 크다.

경북 포항 지진이 전국을 뒤흔들었다. 하루 뒤로 예정됐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사상 처음으로 일주일 연기됐다. 학교 건물 등의 균열과 그에 따른 형평성이 고려됐다. 이번 지진으로 지진에 대한 전 국민적 경각심 및 공포감 등이 높아져 국민 안전에 대한 선제적 대응 요구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포항 지진은 15일 오후 2시 29분쯤  발생했으며 규모는 5.4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에 이어 국내 지진 관측 사상 두 번째 규모다. 이번 지진은 깊이가 9㎞로 경주 지진(15㎞)보다 얕아 체감진동이 더 컸다고 한다.

규모 5.4 지진에 앞서 오후 2시22분대에 인근에서 두 차례의 전진(前震)이 있었고, 본진 후에도 규모 4.3에서 2.4의 여진이 이어졌다. 경주 지진보다 규모는 작았지만 진원은 더 얕아 경북과 경남, 울산 등은 물론 진앙에서 300㎞ 이상 떨어진 서울에서도 건물 흔들림이 감지되는 등 전국 곳곳에서 진동이 느껴졌다. 특히 포항에서는 강한 진동으로 일부 건물의 벽체가 떨어져 아래에 주차된 차량 여러 대가 부서지고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다. 경주 지진 이후 1년2개월여 만에 발생한 역대 두 번째 규모의 이번 지진으로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다시 확인됐다.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5.0 이상의 강진은 10차례였다. 특히 이 중 가장 최근에 일어난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은 규모가 역대 1, 2위인 데다 활성단층인 양산 단층대에서 일어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단층대는 고리, 월성 등 원자력 발전소가 밀집된 지역이다. 1년 2개월 사이에 50㎞도 안 되는 가까운 지역에서 잇따라 지진이 발생한 만큼 원전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우선 양산단층과 울산단층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신속히 하고, 다른 활성단층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앞으로 경주나 포항지진보다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다.

지진이 발생할 경우 피해 가능성이 큰 시설부터 순서를 정해 안전조치를 강화하고 예산을 확보하는 대로 그 범위를 넓혀가야 한다. 특히 원전은 지진에 뒤따르는 위험성이 가장 큰 시설인 만큼 노후 원전을 중심으로 내진에 문제가 없는지 다시 점검해야 한다. 이와 함께 노후 SOC와 시설물 등에 대한 내진보강 투자로 국민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국민 안전이 곧 복지이기 때문이다. 무턱대고 SOC를 대폭 삭감할 일은 아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