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 일자리 창출효과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2.5배”
연세대 산학협력단 연구결과 발표
서울시 세운상가 등 3곳 대상 분석

◇서울로 7017

서울의 도시재생사업이 사업지 주변의 민간개발과 상권 활성화 등으로 이어져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시가 연세대 산학협력단(도시공학과 김갑성 교수팀)에 의뢰해 수행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 연구결과가 8일 발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가 도시재생사업을 실시한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창신·숭인 등 3개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 8만8693명의 신규 일자리 유발효과가 생긴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로7017’과 ‘다시세운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은 작년 5월과 9월 마무리 됐고, 창신·숭인은 작년 말 마중물 사업이 완료되고 올해 초에 일부 앵커시설의 준공을 앞둔 상태다.

이번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계획·건설·운영·관리 등에 따른 직접고용효과와 이로 파생된 민간주도개발과 지역 상권 활성화 파급효과 등 간접고용효과까지 종합 분석했다.

총 8만8693명의 일자리 중 직접고용효과는 5132명이고 간접고용효과는 8만3561명으로 공공의 마중물사업으로 인한 직접효과보다 간접효과가 16배 이상 컸다. 다만 투자 대비 고용효과는 직접효과가 21.38명, 간접효과가 19.38명이었다.

김갑성 교수는 “주택재개발·재건축 사업에 10억원 투자했을 때 고용창출효과가 8.7명인 것과 비교해 도시재생의 직접고용효과가 21명 이상으로 나타나 2.5배 이상 높다”며 또한 “도시재생은 건설단계의 일자리는 물론이고 운영·관리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유발하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직접고용을 살펴보면 건설단계의 일자리(2387명)보다 이후 운영단계(2745명)에서 약 1.1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고서는 대규모 도심지 재생은 고용·유발 효과가 크고, 주거지 재생은 주변 파급효과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경제기반형인 서울역 일대 사업은 1200억원을 투입해 5만4228명의 고용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나타났고, 중심시가지형인 세운상가 사업은 약 1000억원이 투입돼 3만4074명의 효과가 있다고 분석됐다.

근린재생형인 창신·숭인 지역은 200억원이 투입돼 391명의 일자리 효과가 예상됐다. 다른 두 곳과 달리 노후 주거지 활성화가 목적이었기 때문에 고용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쇠퇴하던 봉제산업과 청년이 유입돼 상권이 살아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시범조사를 토대로 올해에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전지역(131곳)으로 확대해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