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침체 극복할 도전과 혁신의 길 - 새로운 건축 패러다임, 제로에너지 빌딩

오는 2025년부터는 제로에너지 건축이 전체 신축건축물에 의무화 된다. 건축물의 새 패러다임 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다. 하지만 건설업계에 아직까지 기술이나 비용 등 제로에너지빌딩은 생소하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9곳에서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어떤 것이고, 어떻게 진행되는지 들여다봤다. /편집자 주

◇국내 최초의 제로에너지 도서관인 아산중앙도서관. 자체 에너지 생산량을 늘리기보다, 패시브 기술로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

단열의 패시브 기술과 친환경 전력의 액티브 기술 융합
2025년부터 모든 신축건물 의무화…건축비 30% 오를듯

새나가는 에너지를 차단해 이용 효율을 높이고, 신재생에너지설비를 통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한다. ‘제로에너지빌딩’을 향한 도전이 이제 막 시작됐다.

제로에너지빌딩의 구현은 패시브와 액티브 기술의 융합이 핵심이다. 즉 열교를 차단해 새나가는 에너지를 줄여 경제성을 높이는 동시에 태양열, 지열 등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에너지 자립률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패시브 기술로는 외벽 단열재 시공과 창틀 기밀시공, 2~3겹으로 된 창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밀성이 높아진 만큼 환기의 중요성도 커진다. 습기로 인해 외벽에 균열이 갈 수 있으며, 실내에 갇힌 미세먼지, 라돈 등이 거주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액티브 기술은 태양열, 지열 등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해 건물 내부에서 활용하는 전력 등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함께 공조설비나 블라인드 등도 액티브 기술에 포함된다.

이같은 요소 기술들이 적용됨에 따라 건축비 인상은 불가피하다. 패시브건축학회 등에 따르면, 제로에너지 건축에는 기존 건축물 대비 30%+a 만큼의 비용이 추가된다. 여기에 어느 제품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아산중앙도서관 옥상 자투리 공간에 설치된 태양패널.

이에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은 현재 사업자에게 보다 저렴하고, 폭 넓은 요소기술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편 정부는 2025년까지 제로에너지 건축을 의무화 한다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지금까지 시장형·준시장형 공기업 중 연면적 3000㎡ 이상의 교육연구시설 및 업무시설이 의무대상에 포함됐으며, 2020년 공공기관, 2025년 민간건축물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단,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방안이 계획대로 이행될지는 미지수다. 아직까지는 참조할 만한 국내 사례가 없는데다가 각 나라마다 기후조건 등이 달라 해외사례를 참조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국내 기술력과 시장 여건 등이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의무화 시기나 의무화 대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저층형 5개소, 고층형 2개소, 단지형 2개소 등 총 9가지 신축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방안은 향후 시범사업의 추진 결과에 따라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