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 “정부·산업·대학 및 재교육기관 역할 분담” 주장

글로벌 건설기술인을 양성하기 위해 직업과 직무 로드맵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와 함께 건설기술인의 역량을 상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하고, 건설기술인에게 요구하는 역량 중 기술력의 한계선을 없애는 등 구체방안도 제시됐다.

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는 6일 발간한 건설산업 이슈 홍보 팸플릿인 ‘VOICE’ 10월호에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건설기술인이 되는 길-직업 및 직무 로드맵’ 보고서를 실었다.

연구소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갖춰야 하는 것은 건설기술 역량”이라면서 “기술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기존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보다는 직업과 직무가 정교하게 분류된 직업 및 직무 로드맵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글로벌 선진기업으로 평가 받는 미국의 A사와 국내기업을 비교하면서 “빠른 시일 내에 직업 및 직무 지도를 개발해 침체 늪에 빠진 건설과 기술인의 미래 도전의식을 촉발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사는 약 2800개에 달하는 각 직무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명시한 직무기술서와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역량과 그 기준을 명시한 직무명세서를 전 임직원에게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가 제시하는 NCS를 따르고 있으며, 건설 분야는 124개의 직무능력으로 비교적 단순한 수준이다.

또한 국내 기업의 경우 기술자 역량에 대해 획일적인 등급을 구분하고 상한선을 설정하고 있는 반면에, 외국 선진기업들은 기술자들의 기술 역량 향상을 위해 기숙 숙련도와 완성도의 등급에 따라 교육과정을 차별화하고 있다.

이에 연구소는 △건설 비즈니스로 확장 △상대평가 방식 도입 △기술등급 상한선 폐지 △정부와 산업이 함께 표준 개발하고 개별기업은 자신에게 맞게 맞춤화 등 4가지 개발 방향을 통해 직업·직무 로드맵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선 ‘건설공사 중심’에서 건설 ‘비즈니스 중심’으로 기술의 지평을 넓히고 이를 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 기준이 개발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건설기술인의 역량을 제한시키는 ‘등급 및 자격을 통한 절대평가방식’ 대신 ‘역량 중심의 상대평가방식’으로의 전환을 제시했다.

또 건설기술인에게 요구하는 역량에서 기술력의 한계선을 없애야 한다고 밝혔다. 기존의 재교육제도의 전면적인 혁신을 통해 건설기술인이 자기계발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부와 산업, 교육계가 국가 공동사업으로 인식하고 협업해 표준체계 개발에 힘쓰고, 개발후에는 개별 기업별로 고유한 체계로 바꿀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