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시설물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조치를 해야 하지만 실제 내진성능 확보 조치는 대상 시설물 별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시설, 전기통신설비 및 폐기물매립시설 등에 대한 내진 보강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김병관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성남시분당구갑)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 현황’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전체 시설물 18만7950개소 중 내진보강 기준을 충족하는 시설물은 3분의 2가 채 되지 않는 62.3%인 11만7165개소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체 학교시설물 3만2896개소 중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한 곳은 36.7%인 1만2070개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통신시설 47.6%(84개소 중 40개소), 폐기물 매립시설은 48.6%(387개소 중 188개소)의 내진율을 기록하며, 내진보강 조치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일반 주택이나 건물에 해당하는 ‘건축법’에 따른 공공건축물(2층, 또는 연면적 200㎡ 이상, 모든 주택)의 내진율도 35.1%(5만6023개소 중 1만9675개소)로 매우 낮았다.

또 지진 발생 시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원자로(98.3%) 및 전력시설(99.0%), 가스(93.0%) 및 석유저장 시설(95.7%) 등은 대부분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병관 의원은 “2016년 경주 지진이나 2017년 포항 지진 등에서 나타났듯 우리나라도 더이상 지진안전지대가 아니다”며 “주요 시설물들에 대한 내진보강 조치가 조속히 마무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