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미래를 본다 ● 건설사들, 새 시장 개척 경쟁

◇지난 4월 위험건축물 재생사업으로 선정된 경남진주 영남백화점 모습과 계획도 /사진=국토교통부 제공<br>
◇지난 4월 위험건축물 재생사업으로 선정된 경남진주 영남백화점 모습과 계획도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강소 전문건설사가 등장하는 에너지 분야와 달리 도시재생 분야에선 건설사들이 아직 ‘도급’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시재생에서 의사결정 권한의 많은 부분이 주민들에게 있지만 중소건설사들에겐 낯선 모습이다.

소규모 사업이 많은 도시재생은 수요자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수요자 입장에서 수직적 도급사업에 익숙한 건설사들은 무등록업체와 비교해 별다른 경쟁력을 갖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제도권 안에서 운영되는 건설사가 자영업자 수준의 업체에 비해 비용이 더 들기 때문이지만, 소비자에게 이런 이유는 고려대상이 아니다.

도시재생은 단순한 시공·설치를 넘어 기획부터 운영까지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따라서 도시재생 분야에 뛰어들려는 중소건설사들은 기획, 설계, 투자, 시공, 운영 등 사업 전반적인 역량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특히, 지역주민이나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과 원활히 협업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도시재생의 한 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이나 어르신 등이 액션캠으로 거리를 걷는 영상을 찍어 어떤 불편이 있는지를 주민들과 지자체가 확인하고 사업에 반영한다. 이때 건설사는 불편을 해소할 대안을 제시하고, 해당 시설물을 어떻게 조달해서 설치, 운영할지 기획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공무원과 건설업계가 주도하던 과거의 탑다운방식의 인프라 공급사업과는 전혀 다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이같은 흐름을 반영해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회사’라는 명칭의 제도를 검토하고 있다. 조만간 수요조사와 시범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시재생회사는 지역에 기반시설을 조성해 운영, 관리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지역공동체의 참여를 이끌어 내고 협력기반을 구축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