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가 세 번 시도 끝에 지난 13일 민주노총에서 탈퇴했다. 2018년 민주노총에 가입한 지 5년여 만이다.

포스코지회는 이날 ‘조직 형태 변경에 관한 입장문’에서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새로운 포스코 노동조합인 포스코 자주 노동조합이 출범한다”며 “고용노동부로부터 신고필증을 부여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노총 탈퇴를 원하는) 조합원들의 뜻에 따라 포스코 근로자들에게 맞는 포스코형 기업노조 형태로 변경해 새 출발을 한다”며 “포스코 자주 노동조합은 특정 집단을 위한 하부조직 형태가 아니라 근로자를 위한 조직으로 다시 태어나겠다”고 다짐했다.

포스코지회는 지난해 11월 두 차례 투표에서 65.2%, 69.9%의 찬성으로 민주노총 탈퇴를 의결했다. 하지만 ‘절차 미비’와 ‘총회 소집권 자격’ 시비 등으로 불발에 그쳤다. 민주노총이 탈퇴를 주도한 집행부를 제명하는 등 이탈을 저지했기 때문이다. 이번엔 포스코지회 구성원의 뜻이 관철된 것이다.

포스코지회가 민주노총과 결별을 선언한 배경에는 민주노총이 포스코 근로자의 권익과 복지는 안중에 없고 노조의 기득권 지키기에만 급급한 데 따른 불만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회가 민주노총을 탈퇴하며 “특정 집단을 위한 하부조직 형태가 아니라 근로자를 위한 조직으로 다시 태어나겠다”고 한 것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실제로 포스코지회는 금속노조에 조합비 수억 원을 냈지만, 금속노조는 지난해 9월 힌남노 태풍 피해 당시 아무런 지원을 하지 않는 등 포스코 노조원들의 권익에는 무관심한 행태를 보였다고 한다.

다만 광양지부 포스코지회는 금속노조에 남는다. 이에 따라 포스코에는 이번에 금속노조를 탈퇴해 기업노조로 전환한 포스코 자주 노동조합, 금속노조 소속 광양지부 포스코지회,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소속 포스코 노조 3개 노조가 활동한다. 국내 최대 철강업체인 포스코 노조가 민주노총 간판을 떼고 새롭게 출범했다.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근로자의 권익과 복지증대보다 정치·이념 투쟁에 치우친 기득권 세력의 강성 노조는 근로자들에게 외면당한다는 점을 보여준 셈이다. 

국내 2위 석유화학 기업인 롯데케미칼의 대산지회는 최근 조합원 80.25%의 찬성으로 민주노총 화섬노조 탈퇴안을 의결했다. 앞서 한국은행·GS건설·한국전력기술 노조 등도 민주노총과 결별했다.

민주노총이 자정하지 않고 정치 공세와 파업 투쟁으로 일관한다면 조합원 이탈은 가속화 할 것이다. 또 노동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커질 것이다. 정치 투쟁 중심에서 근로자 이익을 우선하는 노조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야 한다. 노조원의 지지를 못 받는 노조는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각종 불·탈법을 저지르며 건설현장과 경제계의 발목을 잡았던 민주노총은 포스코 노조의 탈퇴를 계기로 거듭나야 한다. 시대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노조는 도태되기 마련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