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철근 누락 아파트와 관련해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는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많은 방안이 나왔다. 그중에는 현장감리를 원활하게 하도록 스마트건설기술을 활용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건설기술이 잘 개발돼 있어야 하고 또한, 감리자가 그 기술을 잘 습득해 활용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최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건설정책리뷰:스마트 안전기술 동향분석과 시사점’을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 안전기술 특허출원은 2018년을 기점으로 증가하고 있고,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를 고려한 기술성숙도는 발전기에 해당하며, 대학, 연구기관 중심에서 점차 기업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전 세계 스마트건설 시장규모는 2019년 건설시장의 4.8%를 차지했으며 2025년에는 11.3%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건설기술의 디지털화를 위한 혁신정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며, 디지털기술이나 ICT 장비, 3D모델링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건설산업의 스마트화를 구현해 나가고 있다.

국토교통부도 2018년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2030년 건설 전과정을 디지털화, 자동화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2022년 마련한 바 있다.

현재의 스마트건설기술 연구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AI기술과 빅데이터, ICT, BIM 등을 활용한 건설로보틱스, 건설용 3D프린팅, 스마트 현장관리 기술 등이 있다. 건설로보틱스는 원격조정과 자율주행이 가능한 순찰로봇, 위험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시공로봇이 개발돼 있다. 3D프린팅은 비정형 조경구조물은 물론 비정형 비계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개발이 진행됐다. 스마트현장관리는 드론을 활용한 현장데이터 수집 및 분석, 다자간 영상회의 및 보고서 작성까지 가능하도록 기술이 개발돼 있다.

이렇게 보면 스마트건설기술의 개발은 어느 정도 돼 있는 듯하다. 감리자가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습득뿐 아니라 교육과 필요 인원의 확보가 중요하다. 스마트건설기술 정보의 습득은 이미 구축돼 있는 포털시스템을 이용하면 가능할 것이다.

국토부와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가 2020년부터 ‘스마트시티 종합포털’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여기는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모든 홈페이지를 연결하는 허브로서, 포털이용자들은 한 번의 클릭만으로 혁신성장 R&D, 솔루션마켓, 월드스마트시티 엑스포 등 스마트시티 관련 누리집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국토부가 2020년 시작한 스마트건설기술 연구개발 정보인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감리자가 고령화돼 있다는 점이다. 디지털보다는 아날로그에 익숙한 그들에게 스마트건설기술의 활용은 요원한 일이 될 수 있다. 동종업계 대비 낮은 임금, 권한에 비해 과중한 책임 등 원인으로 청년층이 기피하는 분야가 된 지 이미 오래됐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나서야 한다. 임금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감리자의 책임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감리자는 현장이 원활하게 운영되게 하는 조언자의 역할이지 주체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책임에 관해서는 마치 주체자인 것처럼 부여하고 있다. 선진 외국에서 말하는 건설사업관리자(Construction Manager)는 발주자에게 공정, 원가, 품질, 안전, 환경관리에 대한 조언을 하는 컨설턴트(Consultant)이다.

국내의 법규정이 감리자에게 과도한 책임을 부여하는 것으로 돼 있는 문제를 개선하고 처우를 개선해야 청년층의 호응을 이끌 수 있다. 청년층이 감리자로 유입돼야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이 가능하고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경북대 교수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