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보고서서 제기

건설업 사고사망 특성을 고려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체계 세분화와 안전교육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15일 발간한 ‘발주유형·공사규모별 건설업 사망사고 분석’ 보고서를 통해 발주유형과 공사규모별 주요 사고 유형과 원인 등에 따른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발주유형·공사규모별 주요 사고유형. /자료=건산연 제공
◇발주유형·공사규모별 주요 사고유형. /자료=건산연 제공

연구원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건설업 사고사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739명 중 509명이 민간사업에서, 230명이 공공사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건설업의 3대 사망사고유형인 ‘떨어짐’, ‘깔림’, ‘물체에 맞음’을 발주 유형별로 보면 ‘떨어짐’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공공 71명, 민간 301명으로 각각 전체 사망자의 30.9%와 59.1%를 차지했다.

또한 3대 사고원인을 발주유형에 따라 분석하면 ‘작업자의 단순과실’로 인한 사망자는 민간부문이 88명으로 공공 44명의 2배 수준이며, ‘부주의’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민간의 경우 32명이지만 공공은 11명이었다.

사고사망자의 비중이 높은 주요 사고객체는 ‘건설기계’, ‘가시설’, ‘시설물’로 공공의 경우 ‘건설기계’에 따른 사고사망자 비율이 34.8%로, 민간의 경우 ‘가시설’로 인한 사고사망자 비율이 24.4%로 가장 높았다.

손태홍 연구위원은 “발주유형과 공사규모별로 주요 사고유형과 사고원인 및 사고객체가 구분되는 특성을 고려할 때 맞춤형 대책의 필요성이 크다”며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 체계를 세분화하고 안전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