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강수량 1m 늘면 해당지역 경제성장률 2.54%↓

비가 많이 오고 기온이 올라가는 등의 기후 변화가 이어지면 건설·부동산 업종 등을 중심으로 제주·경남 지역의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위험)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그래픽>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후 조건을 반영해 피해 함수를 추정한 결과, 어떤 지역의 연간 총강수량이 1m 늘어나면 해당 지역 내 총생산(1인당 기준) 증가율이 2.54% 하락했다.

특히 실외 생산활동이 많아 노동생산성이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는 건설업(-9.84%), 비금속광물·금속제품업(-6.78%)과 기후 피해 관련 보험금 지급 등이 늘어나는 금융·보험업(-3.62%) 등의 부가가치 성장이 타격을 입었다.

건설업의 경우 호우와 강설 상황에서 조업이 중단되고 원자재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등 기상여건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산업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연 평균기온 상승에 따른 성장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도소매업과 부동산업 등 일부 업종에서는 부정적 영향이 확인됐다.

도출된 강수량·기온 피해 함수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영향이 5년간 누적(향후 관측 가능성이 큰 강수량·기온 변화분의 중간값 적용)되는 상황을 가정하자 건설업(-4.90%)·부동산업(-4.37%)·섬유의복가죽제품(-2.53%)·비금속광물금속(-1.76%)·금융보험(-1.13%)에서 피해가 예상<그래프>됐다.

NGFS의 현행 정책 유지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추정치를 살펴볼 경우에는 부동산업에 피해 영향이 특히 현저(-20.99%)했으며, 이외에도 건설업(-9.70%), 도매 및 소매업(-7.44%), 섬유 의복 및 가죽제품제조업(-6.81%), 금융 및 보험업(-2.75%), 농업, 임업, 및 어업(-2.75%) 등에서 피해 영향이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남쪽에 위치하면서 도시·산업화 수준이 높은 제주(-3.35%)·경남(-2.39%)·대전(-1.54%)·부산(-1.31%) 등의 타격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이지원 한은 금융안정국 과장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으로 더 높은 수준의 기온과 강수량 증가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홍수·가뭄·산불 등 급성 기후 변화에 따른 직접 피해 영향까지 고려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