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

종합건설사들의 부도·법정관리와 폐업이 급증하고 있다.

정부와 업계 집계를 보면 지난해부터 종합건설업체의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작년에 부도난 종합업체는 9곳이고, 여기에 올해 1월(15일 기준 4곳) 법정관리를 신청한 업체도 잇따르고 있다. 종합건설사의 위기가 고조될 전망이다.

지난해 종합건설사 폐업도 예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산업정보센터(키스콘)에 따르면 종합건설사 폐업 공고 건수는 전년 대비 219건 늘어난 총 581건에 달했다. 올해 1월 폐업 신고한 10여건을 합하면 600개사 정도가 문을 닫은 셈이다. 이는 2005년(629건) 이래 가장 많은 숫자다.

현재 드러난 것보다 부실이 더 심각한 상태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방에서 20여 곳의 현장을 가지고 있는 지역 대형건설사들이 금융권에 이자조차 납부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PF 우발채무에 따른 굴지의 대형사들의 위기설도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종합건설사들의 영향권에 있는 전문건설업체들도 비슷한 사정이다. 특히 소규모 지역 건설사 중심이던 종합건설사 부도·폐업이 최근 중견·대형 건설사로까지 번지면서 전문업계에도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작년 전문업체의 폐업 신고는 2987건에 달해 전년 같은 기간의 2525건보다 20%가량 늘었다. 부도난 업체도 작년 12곳에 이어 올해만 벌써 2곳이 더 나온 상태다. 부도 시기를 보면 종합건설사의 여파가 시작된 4분기에 몰려있다.

종합업체 한 개사의 부도가 전문업체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 개사의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종합건설사들의 폐업이 지금처럼 이어진다면 하반기에 문을 닫는 전문건설사들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IMF 때처럼 지역이나 업종의 유력 전문업체들까지 넘어지는 총체적 위기가 닥쳐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전문건설업체들과 전문가들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는 뜻이다.

올해 건설경기가 하반기까지 힘들 수 있다는 지표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비한 수주 계획을 마련해야 마땅하다. 

어음과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외담대) 등 현금 아닌 방식의 대금결제를 주의해야 한다.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면 지급 보증서를 반드시 챙겨야 한다. 부실하다고 판단되는 종합업체 현장이나 사업성이 떨어지는 현장을 잘 구분해 공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국내 굴지의 종합업체들이 쓰러지고 지역 1, 2위권의 전문업체들이 부도난 IMF 때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이 절실할 때다.

하도급업체 입장에서 시장 상황이 어떠한지 그리고 공사를 하는 시행사, 종합업체가 건전한 상태인지 판단할 만한 정보를 얻기 힘든 만큼 이를 정부에서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정부는 역대급 불황으로 허덕이는 건설사들의 위기 상황을 직시하고 맞춤형 정책을 선제적으로 조치하는 게 바람직하다.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식 정책은 백약이 무효가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