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 장기화시 현장 타격 클듯 정부 납품단가 연동제 등 강구

전국 레미콘 업체들이 지난19일 일제히 파업에 돌입하면서 아파트 등 일부 건축 공사 현장에 비상이 걸렸다. 대부분의 건설사들은 레미콘 파업이 예고돼 있던 만큼 금주들어 콘크리트 타설량을 늘리거나 다른 공정으로 대체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해 아직까지 큰 피해는 없지만 미처 대처를 못한 곳은 공사 중단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건설업계는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공사 중단에 따른 피해가 커질 것으로 보고 사태 해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우건설은 레미콘 타설이 필요한 전국 26개 아파트 등의 건축 공사현장에 공급이 중단되면서 대체 공정을 마련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판교신도시 현장의 경우 지난19일부터 레미콘 공급이 끊기면서 향후 일주일 간은 내부 마감 쪽으로 공정을 조정하기로 했다.

현대건설은 레미콘 파업을 예상하고 일부 현장에서는 당초 19일로 예정된 콘크리트 타설공사의 80%를 지난 17일부터 이틀에 걸쳐 앞당겨 실시했다. 그러나 판교신도시 등 2개 아파트 현장에서는 19일부터 콘크리트 공정이 중단됐다. GS건설도 서울 신길 자이, 인천 영종 자이 등 서울·수도권 11개 아파트 공사 현장의 공사가 중단돼 일손을 놓고 있다.

한 건설회사 관계자는 “레미콘 파업이 일주일 이상 장기화되면 공사지연에 따른 피해가 현실로 나타날 것”이라며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레미콘 업체와 건설회사 양측이 빠른 시일내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670여 개 레미콘 회사들이 가격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간 지난19일 레미콘 공급 중단으로 파업이 현실화되자 동탄신도시는 건설현장마다 2-3일 더 파업이 이어지면 공기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시범단지에서 주상복합 아파트 4개동(1천266가구)을 짓고 있는 포스코건설의 이정우 관리팀장은 “하루평균 타설하는 레미콘량이 540㎥(레미콘차 1대당 6㎥) 가량 되는데 어제는 파업에 대비해 1천200㎥를 타설했다”며 “오늘 작업량이 750㎥인데 공급 중단으로 (작업이) 올스톱됐다”고 말했다. 한편 레미콘 업체들이 일제히 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건설업계를 대표하는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이하 건자회)’는 지난19일 비상총회를 열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건자회는 이날 비상총회에 33개 회원사들이 모인 가운데 결의한 내용을 레미콘 업체에 통보할 계획이어서 이번 사태 해결에 실마리가 풀릴지 주목된다. 건자회는 그러나 레미콘 업체들이 파업을 풀지 않을 경우 절대 가격 협상에 임할 수 없다는 강경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가격 인상 폭이나 인상 시기 등은 레미콘 업체와 의견차가 커 협상 과정에도 적지 않은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레미콘 업계는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내건 생산재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경인 레미콘공업협동조합 배조웅 이사장은 “이미 한달 전에 원자재값 인상에 따른 레미콘 가격을 조정해달라고 공문을 보냈고, 어려움을 호소했는데 건설업계에서 전혀 반응이 없었다”며 “공급 중단까지 시한도 일주일 이상 줬는데 이제와서 공급 중단을 먼저 풀어야 협상에 임하겠다는 건설사들의 반응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12.5% 인상은 원자재 값 인상에 대한 최소한의 원가를 보장해달라는 것”이라며 “3월 출하분부터 이 금액을 인상해달라는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는 레미콘업계의 생산중단에 대한 즉흥적인 대책은 내놓지 않을 방침이다. 기본적으로 이번 사태가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기인한 문제가 아니라 양 업계의 가격 싸움에서 시작됐기 때문에 섣불리 대책을 내놓았다가는 자칫 ‘지나친 시장개입’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또 건설원자재를 포함한 원자재가격의 변동이 납품단가에 연동되도록 하는 방안을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등이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최광섭·김흥수·반상규 기자〉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