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업체만 공사 집중 타업체들 불구경

수주 잘해도 부실공사땐 부작용 엄청나  핵심 공정별 전문업체 지정해 양성해야

아부다비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 수주를 계기로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 건설시장 전망은 낙관적 일색이다. 지경부는 1월13일 국내 원전건설 현장에서 대통령께 2030년까지 해외원자력발전소 80기를 수주하겠다고 보고했다. 탄산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원전을 국내에도 10기를 2030년까지 추가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거의 1년에 1회기씩 준공시켜 가는 셈이다. 원전건설이 국내외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반면 정작 건설산업을 대표하는 정부의 주무부처는 조용하다. 그리고 대다수의 건설회사나 엔지니어링회사들도 강 건너 불구경식이다. 원전건설현장에 건설업체가 보이지 않는 셈이다.

 

아부다비에 짓기로 한 한국형 원자력모델은 ‘APR1400'이다. 이 모델을 건설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점유율 기준으로 보면 공사비와 엔지니리어링, 기자재비 등을 합한 순공사비는 약 70% 내외다. 예비비를 포함한 발주자의 사업관리성 경비 비중이 13%이며 나머지 17%는 금융비용이다. 순공사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3를 넘는데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시장에서 온기를 느끼지 못하는 이유가 따로 있는 것 같다.

국내 원자력발전소 건설은 전통적으로 에너지자립이라는 명분하에 공공이 주도하는 폐쇠적 영역이 유지되어 왔다. 기술자립을 하는 10년간은 국산화라는 명분하에 ‘선택과 집중’ 정책으로 독과점 생산체계를 인정했다. 기술자립 이후는 산업합리화라는 명분하에 기술과 생산능력을 갖춘 특정한 기업군에게만 참여를 허용 해 왔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원자력사단 혹은 원자력그룹’이라는 보이지 않는 장막으로 일반인들의 관심밖에 머물러 있었다. 아부다비 원전수주로 인해 국민적인 관심을 끌게 된 것은 더 이상 폐쇄집단으로는 소화 할 수 없음을 간접적으로 들어내고 있다고 본다.

정부에서 예측한대로 2030년까지 80기의 해외원전을 수주한다는 의미는 국내 힘으로 매년 평균 5기를 완공 해 간다는 뜻이다. 그런데 년간 5호기를 준공시키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기술, 관리 및 기능인력 수급문제다. 양적인 문제와 함께 질적인 숙련도와 완성도가 문제 될 소지가 많기 때문이다. 당장에 수주한 아부다비 원전을 공기 내 완공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관행적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들이 많이 보인다.

순 공사비 70% 중 기자재와 엔지니어링을 제외한 건설현장에서 소화시켜야 할 비중은 약 40% 내외다. 당장에는 건설회사들의 기술 및 관리 인력들이 투입되겠지만 착공 후 4년이면 국내 기준으로 보면 약 3천명에 달하는 기능인력들이 투입되어야 한다. 원자력발전소 건설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토목·건축인력과 기계·전기인력과의 비중은 약 4:6정도다. 토목·건축분야 기능인력은 목수와 비계, 철근 및 철골이 핵심이다. 원전은 플랜트공사에 비해 방사능차폐 문제 때문에 철골보다 콘크리트를 많이 사용한다. 기계․전기부문에서는 배관, 용접, 기계 및 전기·통신인력 들이다.

원전건설이 타 플랜트공사와 가장 큰 차이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의 숙련도와 완성도에 있다. 지식이나 경험만이 아닌 일정한 자격기준 시험을 통과해야만 책임기능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유는 시운전단계 혹은 운영과정에서 조금이라도 품질 하자가 발생 할 경우 복구에 엄청난 비용 지불은 물론 지역사회에 미치는 파급 영향이 상상을 초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79년 3월 미국 스리마일아일랜드원전에서 발생한 원자로건물 내 계통사고는 30년 동안 신규원전 건설을 중단시킬 만큼 엄청난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킨 사례가 단적이다. 부실한 시공이나 혹은 경험 미숙에 의한 시공의 완성도 저하는 상온수압시험과정에 발견 될 경우 치료에 수개월씩 소요되는 게 보통이다. 금융비용만 수천억원에 달할 만큼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다.

원자력발전소의 준공 시기는 일반적으로 국가나 지역의 전력에너지 수급계획에 의해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 시기는 좀처럼 인위적으로 바꿀 수 없는 게 현실적 제약이다. 따라서 공기 지연으로 인한 피해는 통상적인 석유·화학플랜트공사와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필자는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아부다비원전 계약에서 공기지연 시 부과되는 지체상금은 상상을 초월 할 정도로 강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그만큼 당장의 문제는 공기 준수를 위해 한전이 사업관리자(PM)으로서 해야 할 역할이 중요하다는 추정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전문인력 양성을 당장에 서둘러야 한다는 게 필자의 주장이다.

특히 숙련기능공 양성은 당장의 현안으로 국가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몫이라고 본다. 기타 플랜트공사와 같이 숙련도 및 완성도가 떨어지는 제3국인력이 아닌 십장급은 물론 핵심공종의 경우 작업조별 책임자급은 국내에서 검증된 인력을 투입하는 전략으로 가야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개별 기능인력 양성이 아닌 작업조를 거느리는 핵심공종별 전문공사업체를 사전에 지명하여 양성하는 체계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견해다.

세계원자력기구(IAEA)의 전망대로 2050년까지 1,000기의 원전수요가 있다면 시장을 소화시킬 수 있는 인적자원 기반을 당장에 확충하는 게 가장 급선무 중 하나로 지목되어야 한다. 이 몫이 바로 건설산업의 책임인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