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저축은행 5개를 포함해 8개 저축은행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2월초 국회의원들에게 이 같은 내용의 비공개 보고를 하고 구조조정기금 확대 등 대책 마련에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의 위기는 무엇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부실화 때문이다. 수도권의 어느 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는 1조원 안팎인데 PF대출이 3000억원에 이른다고 한다.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6월말 8.7%에서 9월말에는 24%까지 높아졌다.

만일 저축 은행들이 연쇄적으로 경영위기를 맞아 문을 닫는 최악의 사태가 닥칠 경우 적지 않은 금융위기의 파도가 올 수 있다. 건설업체들도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정부도 대책을 서둘러야 하지만 중소형 전문 건설업체들도 자금 조달에 긴장을 해야 할 시점이다.

저축은행 PF대출 부실화는 심각

일부 저축은행의 부실화는 지난해부터 불거지기 시작한 거대한 PF대출 빙산 가운데 일각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미 은행 등 금융기관의 PF대출이 부실화되기 시작했다.

또 시공을 맡았던 건설회사들은 건설대금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시행회사 PF대출에 보증을 서준 후유증으로 심각한 유동성 부족 사태를 겪어왔다. 1조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인 양재동물류센터 PF에서 시행사가 부도가 났으며 지급보증을 섰던 대우차판매, 성우종합건설, 현대시멘트 등이 줄줄이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자산관리공사가 올들어 이미 PF 부실채권을 3조8000억원 어치를 사주었지만 아마도 역부족일지 모른다. 무엇보다 부동산 경기가 오랫동안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이런 PF대출의 부실화 여진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같기 때문이다.

대출 때 신용이나 담보가 아니라 개별 사업의 수익성을 기준으로 대출해주는 PF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주로 부동산개발 분야에서 유행처럼 번졌다. 건설업체가 높은 부채비율로 직접 사업을 벌이지 못하면서 시행사들이 나섰고 건설사들은 뒤에서 시행사를 지원한 것이다.

여기에다 금융기관들은 부채비율 규제가 없는 시행회사에 적극 대출해주면서 돈놀이를 했다. 지난 2005~2008년간 부동산 개발 붐은 PF 덕이었던 셈이다. 그후 부동산경기가 가라앉으면서 대출 부실화가 진행돼 곪다가 터지기 시작한 것이다.

철도 등 대형 사업 조기 발주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부동산 PF 대출규모는 은행 50조5000억원, 저축은행 12조2000억원, 보험회사 5조3000억원, 여신전문회사 4조3000억원, 증권회사 2조8000억원 등 모두 81조7000억원에 달한다.

총 대출 가운데 PF대출의 비중은 은행 4.5%, 보험사 7.0%로 크지 않지만 여신전문회사는 17.4%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대형 은행과 보험사는 존립에 별 문제가 없을지 모르지만 금융기관중 저축은행과 여신전문회사 등은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

건설사들도 신규 사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럴수록 중소형 건설사들은 자금 마련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또 정부는 대형 건설사들이 하도급 대금을 제때에 주도록 독려해야 한다. PF 대출 부실화 진행 속에서도 그나마 요즘 건축 경기가 다소 나아지고 있어 다행이다.

부산 지역의 재건축과 재개발 사업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고 한다. 철도 등 기획되는 정부 주도 대형 사업도 착공시기를 되도록 앞당기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