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수주해도 감당못하는 인재난이 문제
별도의 단기교육만으론 해결책 될 수 없어
애초부터 글로벌 기준 맞게 인재 양성해야

한국건설이 해외건설시장에서 2014년에 준공해야 할 계약금액이 740억불(한화로 약 85조원)에 이른다. 최근 5년간 평균 수주액 585억불보다 크다. 2008년부터 500억불대 수주액을 기록하면서 해외진출업체들은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해외건설 인재 부족 문제를 꼽았다. 수주보다 소화가 더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이다. 한국건설의 경제영토를 확장시키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바로 우리 내부에 있음을 명확히 했다.

해외에 진출했거나 혹은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찾는 인재는 프로젝트관리, 국제금융, 사업개발 및 마케팅, 타당성분석, 사업모델개발 등 대학이나 재교육기관에 상설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없는 분야다. 교육 전문기관과 수요자인 개별 기업들이 분담해야 할 교육 과정도 없다.

해외건설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특별교육 프로그램을 정부지원 사업으로 추진하는 사례가 있다.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해외인력 양성프로그램을 몇몇 대학과 협회, 그리고 재교육기관이 위탁 운영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특정 대학 몇 군데를 지원하는 교육프로그램도 있다.

해외인재 양성프로그램이 있지만 기업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기초교육 이수자는 해외건설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리더급에 투입 할 수 없고, 고급인재 양성프로그램에는 기업에서 참여시킬 인재가 없는 문제도 한 몫을 한다.

박근혜 정부는 해외시장을 통해 청년층의 일자리를 넓히는 정책을 내세웠다. 현행과 같은 해외 전문인력 양성프로그램만으로는 해외건설 소화력을 높일 수가 없다. 국내와 다른 해외시장만을 위해 우수한 인력이 모여들지 않는다. 몇 주 혹은 200시간만의 교육으로 해외인재가 길러질 수 있었다면 애초부터 해외건설 인재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을 것이다. 해외건설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인력 양성인 대학의 학제와 교육프로그램부터 기업체들의 인력 재교육 문제까지 모두가 상당한 문제점이 내포돼 있다.

한국이 자랑하는 세계1등 산업인 조선이나 IT에서 따로 해외 생산 전문인력을 양성하지 않는 이유는 이미 생산시스템이 글로벌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건설의 생산시스템을 좌우하는 것은 건설공사 거래제도와 산업체계의 기반이 되는 각종 기본법이다. 경쟁과 생산을 지배하는 게임의 법칙이 국내용이기 때문에 해외시장을 위해 따로 인력을 배출할 수밖에 없는 것은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이중 부담을 주는 것이다.

국내에 기술자로 등록된 기술자수는 67만명이다. 이중에서 17만명 정도가 고정적으로 일할 자리가 없다. 해외시장의 소화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2년내 1만명 이상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게 업체들의 주장이다.

정부지원 사업으로 시행되고 있는 해외인력 양성과정을 통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인재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리라는 기대는 업체는 물론 위탁 교육기관까지도 확신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런 상태로 해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따로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를 재검토해야 한다.

기존 인력 67만명의 일자리 보장은 물론 매년 2만5000명씩 배출시키는 대학의 신규 인력에게 일자리를 마련해주려면 기초 교육과정에서부터 산업체들의 재교육 프로그램까지 혁신해야 한다. 교육기반 혁신은 국내 건설관련 거래제도와 산업·기술 관련법이 먼저 글로벌 시장과 호환성을 갖춰야 한다.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한국건설의 생존시장은 국내가 아닌 밖에 있기 때문이다.

1000억불 시대에 접어드는 우리 건설은 해외시장에서 이윤을 1% 창출할 때마다 연간 1만5000명을 상시 고용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반대로 1%의 손실은 기존 인력 1만5000명의 일자리를 잃게 만든다. 매년 신규 인력 4~5만명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주기 위해서라도 한국건설의 경제영토는 넓혀가야 한다.

정부가 목표하는 해외건설 연간 수주액 목표 1000억불을 달성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 산업체들의 소화역량 문제다. 아무리 국가 목표가 중요해도 소화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 개별 기업들은 해외경쟁 시장에 나서려 하지 않는다. 해외시장이 커지는 속도보다 중국이나 인도, 터키 등 신흥국 기업들의 시장 진입속도가 더 빠르다.

우리 건설은 과거보다 더 강한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 그래야만 해외시장에서 한국건설의 영토를 확보하고 또 더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시장에서 기존 인력의 일자리 보장과 함께 청년층의 일자리를 창출시키는 해답을 찾아야 한다.   /이복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