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8일 ‘2014년 건설인의 날’ 행사가 열렸다. 많은 건설인들이 모여 서로를 격려하고, 축하했다. 건설업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초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잘 살아보자’는 구호 아래 온 국민이 하나되어 우리 경제를 일구기 시작한 1970년대. 아직 변변한 수출상품 하나 없던 시절에 건설인들은 뜨거운 사막의 땅 중동으로 달려가 엄청난 외화를 벌어 왔다. 이 외화는 1980년대 풍요의 디딤돌이 됐다. 지금은 예전만 못하지만 앞으로도 건설업이 우리 경제의 중심산업이 되길 기원한다.  

이날 건설인들은 축하와 함께 의미 있는 행사도 가졌다. ‘국민안전과 준법경영 실천 결의대회’가 그것이다. 이 행사는 국민을 경악케한 세월호 참사가 점차 우리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 가는 상황에서 열린 것이어서 더욱 뜻깊다. 아직도 세월호 실종자가 배 안에 남아 있고, 사회 곳곳에 수많은 세월호가 여전히 널려 있지 않은가.     

이 자리에서 건설인들은 과거의 비정상적인 관행으로 인해 국민 불신을 초래했다고 반성했다. 또 대한민국 건설산업의 역사를 새로 쓴다는 각오로 국민안전과 국민행복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성실시공과 재해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건설인들은 국민안전과 국민행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원칙부터 지키는 준법경영의 기반을 바로 세울 것을 약속했다. 이를 통해 ‘부실시공’, ‘담합’, ‘비리’ 등 건설업에 덧씌워진 부정적 이미지가 벗겨지길 기대한다.

아울러 한가지 주문하고픈 것이 있다. 국민안전과 함께 건설근로자 안전도 함께 신경 썼으면 하는 바람이다. 건설업이 국민경제에 기여한 것에 걸맞게 건설인이 대접받지 못하듯, 건설업이 발전한 만큼 건설근로자 안전대책이 따라가지 못하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부끄럽지만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발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더구나 건설업 재해는 다른 재해보다 더 심각하다. 고용노동부가 4월 발표한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는 감소한 반면, 건설업 재해사망자는 오히려 전년보다 12% 늘었다. 2013년 전체 재해사망자의 47.3%인 516명의 건설근로자가 작업 중 사망했다. 재해사망자 절반이 건설근로자인 것이다. 유형별로도 후진적인 사고가 많다. 추락사고가 전체 재해의 32.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와 관련, 건설노조에서는 제대로 된 하도급 관계가 정립되지 않고서는 안전한 건설현장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전한 건설현장을 만들려면 하청기업 및 노동자들에게 적정공기, 적정인원, 적정단가, 적정노동시간 등을 보장해 줘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100명이 해야 할 공사에 60명만 투입한 상태에서 안전을 강조해 봐야 헛된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이들은 최근 건설업계가 안전보건 예산을 늘리고 재해예방 계획들을 발표하는 것에 대해서도 냉소적이다. 올바른 하도급 관계 정립은 외면한 채 감시자들만 대폭 늘려 안전보건 예산을 이들의 인건비로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건설노동자들의 피로감만 증가할 뿐이라는 주장이다.

“죽음의 건설현장에 청년들이 들어올 리 만무하다. 청년일자리 증가를 위해서도 안전하고 선진화된 건설현장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는 건설노조의 주장에 건설업계는 귀 기울여야 한다. 정부와 전문가·건설인·건설근로자들이 힘을 모아 안전한 건설현장을 만들기를 기대한다.  /김병국 내일신문 기자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