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건설업계는 SOC 예산이 감축되고 내년 주택경기가 위축될 거란 우울한 전망 속에서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한줄기 희망을 걸고 있다. 업계는 그동안 국민생활 밀착형 SOC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왔고 도시재생 사업이 이런 바램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14일 발표한 ‘2017년도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선정안’에 대해 관심이 높다. 선정안에서는 전국 68곳이 시범사업지로 공개됐다. 

이번 시범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별 특색을 살린 사업들이 대거 포함됐다는 점이다. 단순히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는 도시재생을 넘어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는 문화재생,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형 재생 등이 이번 시범사업에 들어있다.

또 앞으로 재난지역을 대상으로 ‘특별재생지역’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개정하고, 지진 피해지역인 경북 포항시 흥해읍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도 담겼다.

정부가 공개한 주요 지역특화사업의 개요 중 사업비가 공개된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을 통한 건설물량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본다.

◇대규모 도시재생지엔 민간투자가 한 축=충남 천안시에서 진행되는 ‘신경제·교통 중심의 복합스마트거점공간 천안역세권’ 사업은 중심시가지형 사업으로, 내년부터 2022년까지 총 6531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2644억원의 민간투자사업과 공기업 투자사업 3106억원이 진행될 예정으로 다른 사업지에 비해 비교적 많은 사업비가 예정됐다.

천안역세권 도시재생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첨단지식산업센터 조성사업(1282억원), 상업·업무 복합센터 조성사업(1300억원), 자율주택정비사업(62억원)이 계획됐다. 또 공기업 투자사업으로 역세권 도시개발사업(1102억원), 역세권 청년임대주택 조성사업(154억원), 복합환승센터 조성사업(1850억원)이 추진된다.

또한 총 370억원이 투입되는 재정보조사업으로는 스마트도시플랫폼사업(210억원), 스마트에너지공원조성사업(7억원), 스마트시범Zone사업(25억원)과 상가가로환경정비사업(10억원), 수변네트워크조성사업(30억원)이 진행된다.

이밖에 부처연계사업으로 천안역 증개축 사업(170억원)과 전선지중화 사업(20억원)이, 지방자치단체사업으로는 보행육교개선사업(30억원)이 예정돼 있다.

한편, 전남 순천시의 ‘몽미락이 있는 청사뜰’ 사업 역시 총 사업비 7105억원 중 민간투자가 1927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농촌 도시재생은 지역 거점공간 만들기에 중점=우리동네살리기 유형으로 추진되는 경남 하동군의 ‘넉넉하고 건강한 하동라이프’ 사업에는 315억원의 사업비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투입된다. 쇠퇴하는 읍 단위 지역에 새로운 역할과 기능을 찾고 농촌지역의 중심거점 공간으로 육성하는 모델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하동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하는 마을정비형공공주택사업(100세대)에 15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고, 중앙부처와 연계한 하동읍시가지폐철도 공원화사업(2.2㎞)에 38억원이 들어간다.

또 광평도시계획도로개선에 18억원, 마을녹색길 조성 및 활성화 사업에 15억원, 마을스마트관리센터 조성에 15억원, 하동학숙배움터 조성에 39억원, 친환경주택 지원사업에 8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도시재생의 기본은 지역 특화=전남 목포의 ‘1897개항문화거리’ 사업에는 역사공원 정비, 친수공간 조성, 해상보향교 설치, 개항거리 주차장 10개소 설치 등 근대 역사문화 건축자산과 항구기능을 연계한 모델을 만든다. 또 상수도 노후관로 사업과 하수도 관거정비사업 등도 이뤄진다.

인천 부평구 ‘지속가능 부평 11번가’ 사업에는 미군부대 이전과 연계해 혁신부평허브를 조성하고 둥지마을 조성, 생태굴포 물길변 보행인프라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부산 사하구 ‘안녕한 천마마을’ 사업엔 경사형엘리베이터 235m, 생활소방도로 700m 조성 등 고지대 급경사 지역의 특색을 살려 마을 자생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