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 공시 정보를 살펴보면 하루에도 수십, 수백 건씩 ‘단일 판매·공급 계약 체결’ 기재 정정 보고서가 쏟아진다. 

대형종합건설사들이 내놓은 해당 보고서의 내용은 대체로 공사대금 증액 및 공사 기간 조정에 대한 것들이다.

지난 한 해 건설현장은 경기침체 장기화를 비롯해 자재비 인상 및 인건비 상승으로 직격탄을 맞으면서 몸살을 앓았다.

이에 따라 대형건설사들은 발주처들과 협의를 통해 계약금액을 늘리고, 공사 기간도 넉넉히 보장받은 것이다.

그런데 반대로 하도급사들의 경우 똑같은 공사비 대란으로 어려움에 처했어도 하도급대금 조정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줄도산을 걱정하는 처지다.

하도급업계 등에 따르면 대금 증액 요구 대상 현장 약 500곳을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 금액 조정이 완료된 공사 현장 비율은 20%도 안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원도급사가 발주자로부터 물가변동을 이유로 도급계약금액을 증액받고도 하도급대금을 증액해주지 않았다가 행정처분을 받은 사례도 다수 적발되고 있다.

심지어 얼마 전 한 대형건설사 앞에서는 하도급사 대표가 가격변동에 따른 하도급대금 미반영 등을 이유로 분신을 시도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또 하도급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하도급대금 증액을 배제하는 부당한 특약 설정 역시 여전히 빈번한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두고 업계 전문가들은 올해 원하도급 간 대규모 분쟁 발생 등으로 건설시장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원하도급 간 상생이라는 대의는 차치하고, 원도급사들이 시장 위기에 대한 책임을 뒤집어쓰기 싫다면 당장 하도급사들의 대금 증액 요구에 응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