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병’이라는 명칭은 1957년 일본의 후생성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로서, ‘암, 뇌졸중, 심장병’ 등이 40~60세 정도에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붙여졌던 이름이다.

그러나, 60년대에서 90년대를 거쳐 오면서 이러한 병은 유전적, 체질적 요인과 같은 외부적 요인도 작용하지만, 생활습관이 상당히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중장년층 뿐만 아니라 젊은이나 어린이에게서도 이러한 질병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됐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본에서는 ‘성인병’이라는 명칭이 적합지 않다고 판단해 1997년에 ‘생활습관병’이란 새로운 명칭을 도입하게 됐다.

‘성인병’이라는 용어의 개념에는 “나이 먹으면 병이 나도 어쩔 수 없다.” 는 생각이 깔려있는 반면, ‘생활습관병’이라는 용어에는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질병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담겨 있다.

생활습관병에는 ‘암, 심근경색, 뇌졸중,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골다공’등이 있다. 일본의 전문가 히가시 시게요시는 120여개의 병을 생활습관병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는 것을 보면, 식습관(물 마시는 습관 포함), 운동습관, 흡연, 음주 등의 생활습관의 영향이 얼마나 큰 것인지 알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병을 고치는 기본 원칙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음식물을 당신의 의사 또는 약으로 삼으라. 음식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의사도 고치지 못한다. 병을 고치는 것은 환자의 자연치유력 뿐이다. 의사가 그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또 병을 고쳤다고 해서 약이나 의사 자신의 덕이라고 자랑해서도 안 된다.” / 류영창  코스카중앙회 상임부회장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