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미국과 북한 간 정상회담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앞으로 전개될 남북 경제협력(경협)도 벌써 주목받고 있다. 남북경협은 6월 미·북 간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크다.

건설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남북 교류가 본격화되면 남북 경제협력도 동시에 가동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쌀이나 비료, 의약품 등의 인도적 지원에 이어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이 차례로 논의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어 북한 인프라 구축이 경협의 주요 축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철도와 도로, 항공 등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등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식 경제특구 개발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다. 

남북경협의 주목 대상은 1차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독일 베를린에서 밝힌 ‘한반도 신경제 지도’ 구상이다. 남북경협의 청사진을 밝힌 이른바 ‘베를린 선언’이다. 주요 내용은 남북 철도 연결과 남·북·러시아 가스관 연결 등의 사업이다. 남북 철도 연결사업이 진행될 구간은 가장 먼저 파주시 도라산역에서 개성공단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어 부산에서 출발, 강릉·속초와 원산을 잇는 동해북부선과 경원선(서울 원산) 연결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동해북부선은 북한을 관통해 러시아를 거쳐 유럽까지 통하는 노선이어서 남북은 물론 러시아에게도 큰 이익이 되는 노선이다. 

남북관계가 호전될수록 경협은 천문학적 수준으로 확대된다. 건설업계의 할 일이 더 많아지는 것이다. 불과 1~2년 안에 실천해야 할 사업으로 △신의주나 나진·선봉 경제특구건설 △해주항 활용 △한강하구 공동 개발 △개성공업지구 확대 △남포 조선협력단지 건설 △개성∼문산 고속도로 건설 등 다양하다. 

남북관계가 좋아질수록 SOC 사업부터 먼저 시작해 다른 분야로 퍼질 것이다. 일부에서는 천문학적인 통일비용 등으로 우리나라가 동반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말하지만 분단 대치에 따른 비용 등을 계산해 보면 예상보다 적게 비용이 들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지난해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통일을 위해 투입되는 비용을 1000조원이라고 추정했지만 북한의 광물을 개발하고 노동인구를 활용하면 경제발전의 디딤돌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원자재업계에서는 북한에 매장된 광물자원 잠재가치는 적게는 3200조원에서 많게는 1경170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이를 활용하면 통일비용이 예상보다 덜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남북한 당국자는 북한 지역 인프라 개·보수나 도로·철도 등의 새로운 구축 없이는 어떤 개발도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남북과 미국 간 협상이 제대로 진전된다면 남북경협은 건설시장 활성화가 먼저 이뤄질 수밖에 없다. 건설업이 퀀텀 점프할 기회를 얻는 것이다. 초기 경협의 70% 이상이 건설업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있다. 

남북관계 활기는 분명 전문건설에도 성장 돌파구다. SOC 전 분야가 전문건설업의 무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준비없는 기업에게 기회는 오지 않는다. 전문건설업이 남북 경협의 핵심인 SOC에서 빠질 수 없다고 해도 다양한 시공 경험과 앞선 기술, 공정관리 등의 노하우가 없다면 단순 참여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대형사들이 북한 SOC라는 블루오션에서 새로운 이익을 창출할 때 준비 안 된 전문건설업은 하도급 업체, 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다. 전문건설업체들이 지금부터라도 미래를 보면서 신기술을 개발하고, 시공 경험을 축적해야 할 이유다.

북한 SOC 문이 열렸을 때 전문건설업종이 또 다른 주역이 될 수 있는 길은 ‘준비’에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