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일찍 눈을 떠 뉴스 검색을 위해 습관처럼 스마트폰을 켠다. 눈을 빠르게 움직이던 중 한 기사의 제목에 눈길이 머문다. ‘문 정부 장관 절반 다주택자… 부동산 재산 3년간 77% 증가’. 최근 부동산 뉴스를 주도하는 시민단체 경제정의실천연합회(경실련)가 내놓은 자료를 토대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전·현직 장관 가운데 올해 재산을 신고한 이들 중 절반이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라는 내용이 핵심이다. 아울러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장관들의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임기 초인 2018년에 비해 올해 77% 넘게 증가했다는 팩트도 중요한 뉴스 포인트다. 2018년 10억9000만원에서 올해 19억2000만원으로 올랐다. 경실련이 2018∼2020년 재직했던 전·현직 장관 35명의 재산 신고내용을 분석한 결과다.

분석 결과에 대해 경실련은 “부동산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데다 부동산 부자들이 장관으로 새롭게 임명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실련 주장을 접하며 김현미 장관의 집값 11% 상승 발언이 새삼 떠오른다. 한국감정원 통계를 인용한 김 장관의 이 발언으로 그는 “현실을 너무도 모른다”는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부동산은 항상 관심 가는 뉴스 소재이지만 동시에 맥이 풀리는 것도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문제는 역시 기사 제목의 뒷부분이다. 최근 부동산 재산이 3년간 증가했다는 대목에서 펴지지 않는 국민들의 형편과 어려운 경기 등을 떠올리면 가슴을 억누르는 묵직한 압박을 피하기가 어렵다.

이 기사와 맞물려 연상되는 게 요즘 사람들의 입길에 오르내리는 고(故) 김대중 대통령의 삼남인 더불어민주당 김홍걸 국회의원의 강남 아파트 증여다. 김 의원이 서울 부동산의 최요지라 부를 수 있는 강남, 서초, 마포에 각각 1채씩, 총 3채의 아파트를 가진 사실에 적잖이 놀랐는데 그가 이 중 지난 8월에 부인 명의의 강남구 일원동 전용면적 59㎡ 아파트를 차남에게 증여했다. 또한 지난달 12일 이 아파트에 새 세입자를 들였는데 이전 세입자(6억50000만원)보다 4억원을 올린 10억5000만원에 전세 계약을 했다. 김 의원 측은 “증여세 6억원을 차남이 모두 납부했고, 전세 계약은 시세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지만 뭔가 찜찜하고 속상한 기분을 떨쳐 내기는 쉽지 않다.

친한 후배 중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산다)의 아주 상징적인 경우가 있다. 그 후배는 경기도 일산의 한 아파트를 8억원 중반에 샀다. 세금과 인테리어 비용까지 더하면 9억원 돈이다. 자신이 가진 돈 3000만원에 부모로부터 수천만원을 빌리고, 신용대출 수천만원해서 총 1억원이 안 되는 상황에서 나머지는 전부 대출을 일으켜 샀다. 입주하면 바로 전세를 놓는다고 한다. “너무 무리한 거 아니냐”고 짐짓 걱정하듯 물었다. “어차피 평생 집 못 사는 사회 구조니까 이렇게라도 집 사고 빚 갚으면서 살아가면 되죠”라는 쿨한 답변이 돌아왔다. ‘아, 저런 마인드여서 영끌이 가능하구나’하고 처음으로 절절이 공감했다.

전 세계적인 저금리 영향으로 집값이 쉽게 가라앉을 것 같지는 않다. 평생 전월세로 살며 임차 비용을 부담하거나 아니면 영끌로 겨우 주택을 구입하거나 둘 중 하나의 선택밖에 없는 지금의 청년층에게 무한한 미안함이 드는 건 앞선 세대인 나만의 감정은 아닐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