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산업현장 사망 5년간 4714명…건설업 절반 차지
서울 연평균 50명 규모로 발생…추락-부딪힘-맞음 순

서울 소재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추락사고를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규모 민간현장에서의 사망사고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서울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목숨을 잃는 근로자가 최근 5년간 4714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건설업 사망자는 전체의 절반인 2355명으로 나타났다. 건설 현장에서 매일 1.3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는 것이다.

건설현장에는 추락, 충돌 등 다양한 사고위협들이 존재한다. 이 중 자연재해, 장비 결함 등 환경적인 요인보다 작업숙련도 부족, 안전장비 미사용 등 과실로 발생하는 사고가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에서는 연평균 50명 규모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건설 근로자 사망자 건수는 39건으로 2018년 48건, 2017년 67건과 비교해 줄어들고 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형태를 보면 서울에서도 추락사고가 많았다. 추락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의 약 65%(100명)로 가장 높았다. 주변 장비와 물체에 의한 부딪힘으로 인한 사망자는 8.4%(13명)로 뒤를 이었으며, 물체에 맞음(7명), 무너짐(7명), 끼임(6명), 깔림(5명) 등의 순이었다. 기타는 16명으로 분석됐다.

중소규모 민간공사 현장은 더욱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 사망자는 공공현장에서 29명, 민간현장에서 125명으로 집계됐다. 민간공사 현장 사망사고가 약 81%를 차지했다.

특히 전체 154명 중 92명(약 60%)이 공사 규모 50억원 미만의 중소규모 현장에서 발생했다. 공공 건설현장에 비해 민간 건설현장이, 대규모 공사보다는 공사비가 적은 중소규모 현장의 안전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울기술연구원은 비용 절감을 위해 공사기간 단축과 작업의 효율성을 우선시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규모 민간현장이 더욱 큰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분석했다.

공사규모와 특성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경험에 따른 숙련도도 안전과는 밀접한 연계가 있었다.

서울 건설현장의 경우 근로자 근속기간에 따라 사망사고 발생률이 차이가 있었다. 전체 사망자 154명 중 6개월 미만 경력의 근로자 사망자 수가 122명 규모로 약 80%를 차지했다.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는 14%에 불과했다.

건설현장 사망사고의 경우 작업에 대한 숙련도가 미흡하고 안전의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짧은 경력의 근로자가 많이 발생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선 숙련된 역량으로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현장의 분위기는 아직 그렇지 못한 곳이 많다”면서 “안전보다는 공사비 절감으로 이어지는 공사기간 단축을 더욱 중요시 하는 현장 문화로 근로자는 위험을 감수하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안전 장비·규정들은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