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혁신성장 역량의 공간분포’ 보고서
대전 1위·서울 2위…제주·전남·강원 하위권

혁신성장 역량이 지역별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지역 간 경제 격차 확대를 유발해 국가균형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할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산업연구원이 8일 발표한 ‘지역별 혁신성장 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 대응 기본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혁신성장 역량은 대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서울, 경기, 인천이 각각 2~4위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 지역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전은 혁신성장 역량을 구성하는 지표인 혁신기반역량과 미래산업기반역량 모두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서울로 나타나는 등 대전과 서울이 17개 광역 시·도 중 가장 이상적인 발전 모습을 보였다.

반면 최하위권인 14~17위는 각각 경북, 강원, 전남, 제주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 중 경북, 강원, 전남은 고령화 심화 및 경제 취약지역으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기반이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광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대신 연구개발(R&D) 및 제조업 신산업의 기반이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

혁신성장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연구개발, 지역산업 구조고도화, 고부가가치기업 입지, 경제성장률 등 경제 지표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을 구현하려면 혁신성장의 토대가 지역 내에 구축, 확산돼야 한다는 의미다. 반대로 지역 간 혁신성장역량 양극화 현상은 경제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2003년 이후 지역 간 경제적 격차 해소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정책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해 왔다. 하지만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면 혁신성장 역량이 낮은 지역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의 저자인 허문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혁신성장 역량의 지역 간 양극화를 완화하는 것이 향후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핵심 과제”라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 고도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반의 혁신성장을 통한 지역경제 선순환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개발과 창업 활동·신산업 부문 간 단절 현상 극복하는 기술사업화 촉진에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