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자재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 5월 철근가격 상승으로 몸살을 겪은 이후 잠잠해질 것으로 예상했던 건자재 가격 상승세가 멈출 줄 모르고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건설용 중간재 품목의 상승률은 올해 7월까지 벌써 18.3%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1.8% 상승에 그친 점에 미뤄보면 올해 들어 상승세가 얼마나 가파른지 알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조사하는 건설공사비지수 역시 7월까지 9%가 올랐다. 일부 자재에 한정돼 오르는 것도 아니다. 금속재, 철강재, 목재, 석유류 등이 전방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건설자재 중 공사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축용 금속제품은 50% 이상 올랐다. 철강재는 말할 것도 없다. 철근이 42.3%, 형강이 50.4%, 아연도금강판이 42.8% 상승했다. 합판을 비롯한 목재류도 평균적으로 20% 이상 올랐다.

이 때문에 보유현장이 많을수록 자재사용 비중이 높은 공사일수록 수익성에 비상이 걸렸다. 일부 현장에서는 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손실 폭이 감내하기 힘든 수준까지 이르러 공사를 포기하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다. 일부 자잿값이 내리고 있긴 하지만 현장 반영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공사 원가에서 자재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에 건자재 가격 상승은 모든 건설업체에 부담으로 다가온다. 특히, 직접시공의 주체이자 하도급공사를 담당하는 전문건설업체에게는 직격탄으로 작용한다. 공사원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는 물론 수급 곤란에 따라 공사기간마저 맞추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자재비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자재구매까지 포함해 하도급을 줄 가능성이 크다. 원청 입장에서는 직접시공 비율 산정기준이 노무비에 한정되기 때문에 자재구매 리스크를 전가할 유인이 커질 수밖에 없다. 자재비 비중이 높은 일부 전문건설 업종의 경우 어려움은 가중된다. 건설업 전체에서 자재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31.5%지만, 금속구조물, 지붕판금, 실내건축, 강구조물, 석공 등의 업종은 자재비 비중이 50%를 훌쩍 넘어선다.

공공공사의 경우 물가상승에 따라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있으나, 민간공사는 현실적으로 공사비 인상이 어렵다. 민간공사가 전체 건설공사의 75% 이상임을 감안하면 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은 온전히 건설업체의 부담이 된다. 자재가격 상승세가 연말까지 이어지게 되면 계약금액 조정을 위한 발주자와 원청 간의 분쟁, 원청과 하청 간의 분쟁이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시공에 따른 손실은 물론 법적·행정적 비용까지 부담할 수도 있다. 

최근 건설수주, 건축허가 등 선행지표가 크게 개선되고 있어 건설경기의 회복세가 기대된다. 최소 2022년까지 건설경기는 상승국면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가파른 건설자재 가격 상승세가 건설경기에 찬물을 끼얹는 분위기다.

이는 통계로도 확인되고 있다. 올해 들어 선행지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건설기성은 상반기 내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물량은 적지 않은데 진척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적으로 자재가격 상승이 원인은 아니나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건설자재 가격이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공공 발주기관은 물론 민간 발주자까지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혜를 모을 때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