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만든 가장 획기적인 문명의 이기(利器)는 단연 핸드폰일 것이다.

유선전화 시대에서 무선전화 시대로 일대 변혁이 이루어진 전환점은 아마 1990년대에 등장한 카폰과 무전기 같은 초기핸드폰의 등장이었을 것이다.

90년대 당시 부의 상징이였던 휴대폰과 카폰은 요즘 휴대폰과 비교해 보면 그 크기와 무게가 가히 공룡 수준(?)이라서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그 당시 핸드폰 제조회사의 광고가 생각난다. 영화배우 안성기가 등장하여 ‘한국 지형에 강한 핸드폰’이라는 카피로 한국 산야를 누비던 장면이 떠오른다. 요즘 광고와 비교해 보면 원시적인 느낌이 들긴 하지만 강한 인상을 남겼던 것 같다.

플립형 핸드폰의 뒤를 이은 폴더폰은 한 손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그야말로 손 안의 혁명이었다. 그 때부터 핸드폰은 일상생활에서 없어선 안 될 필수품이 되기 시작했으며, 그 뒤에 등장한 슬라이드폰, DMB폰, 터치폰은 여러 기능과 편리성을 탑재한 핸드폰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이런 류의 핸드폰을 넘어선 핸드폰이 등장한다. 그것이 바로 스마트폰이다. 지금 스마트폰은 통화기능이 종(從)이고 인터넷검색, SNS 등 정보기능이 주(主)다. 스마트폰은 세대, 지역을 초월하여 모두의 기호품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반면 핸드폰의 편리함에 익숙해지는 동안 잊고 사는 것도 생기고 있다. 마주보며 대화하는 것보다 핸드폰으로 대화하는 것에 더 익숙해져 있다. 가족 간, 연인 간, 친구 간, 동료 간 만나도 시선은 손위의 핸드폰을 가리키고 있다.

화장실에서도, 음식을 먹을 때도, 운동을 할 때도 습관적으로 핸드폰을 만지작거린다. 집전화기는 그야말로 장식품이 된 지 오래며, 직장에서도 유선전화기를 옆에 두고도 핸드폰으로 통화하고 업무를 본다. 딱히 이용할 일도 없지만 가끔 보이는 도심 속 공중전화기 부스는 웬지 휑한 느낌마저 준다.

어쩌다 핸드폰을 집에 두고 출근한 날은 ‘누가 전화했을 텐데’, ‘중요한 전화가 오면 어떡하지’ 등 마치 중요한 문서를 집에 두고 온 것처럼 집에 도착할 때까지 손이 허전하고 신경이 쓰였지만 정작 전화는 온 적이 없고 스팸문자만 가득하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이다. 나도 모르는 사이 핸드폰에 중독이 된 것이다.

핸드폰에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는 없겠지만 휴일만이라도 핸드폰 전원을 끄고 손을 자유롭게 해 보자. 텃밭가꾸기, 청소하기, 일기쓰기, 심심풀이 고스톱 등등. 여유를 갖고 느긋하게 손가락이 아닌 손 전체를 사용할 수 있는 용도로 힐링해 보자. 도구를 사용하는 인간답게, 삐삐가 가끔 그리워진다. 금방 연결되진 않았지만 기다림과 궁금함의 설레임이 있었거늘…./배인호 코스카 중앙회 정보관리실장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