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등 제도정비·연구용역 이어
대형건설사들, 인증 획득 등 가세

오는 2030년까지 모든 공공공사 현장에 BIM(빌딩정보모델링) 도입이 의무화되는 가운데 BIM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연구원 등이 관련 법령 정비, 연구 등에 속속 착수하고 있다.

최근 아파트 부실공사 이슈에 BIM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같은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건설현장 BIM 활성화를 위한 법령 정비, 연구용역이 잇따라 진행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최근 건설주체별 BIM 사용실태 지표개발 및 제도개선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공공건설 BIM 활성화 확대지원’의 일환이다. 연구는 BIM 도입 및 발주현황 지표화를 통한 BIM 확대와 활성화가 목표다.

정부 역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앞서 국토부는 BIM 설계 대가 기준 마련을 위한 건설엔지니어링 대가 등에 관한 기준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기도 했다.

올 6월부터 1000억원 이상 대형공사 입찰 시 BIM 설계 적용 검토가 의무화됐지만 이에 대해 적절한 대가 기준이 없어 BIM 설계 용역비에 대해 발주청별로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는 등 혼선이 있었다.

이에 국토부가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도로, 철도 등 교통SOC에 대해 우선적으로 BIM 설계 대가 기준을 마련했다.

민간에서도 BIM 활용을 위한 움직임은 활발하다. 건설사들은 BIM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일부 대형 건설사들은 BIM 국제표준 인증인 ISO 19650을 획득하는 등 BIM 도입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BIM은 3D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건축물의 전 생애 주기에 거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해 설계·시공에 활용하는 기술로 공사비나 자재비 등을 미리 산출해 설계오류 등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BIM을 공공공사 전면에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2026년부터는 500억원 이상, 2028년에는 300억원 이상, 2030년에는 300억원 미만 공공공사에도 BIM 도입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 건설업계에서 BIM 활용은 미미하다. 최근에 거론되고 있는 부실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나서 BIM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